오늘은 학생 생활 기록부 안에서 독서활동에 대한 얘기를 해볼까 하는데요!
흔히 알려진 사실로는 독서활동은 다양한 분야의 독서가 좋다는 얘기도 있고 또 한편으로는 전공 독서위주로 보는게 좋다는 이야기도 많았어요~ 독서활동에서 어떤 분야의 책들이 학생기록부를 평가할 때 더 도움이 될지 궁금한 친구들이 많을 텐데요! 오늘은 독서활동에 관련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당

※ 이 글에 작성된 내용들은 저희 스카이클래스의 가맹학원인 휴브레인 입시컨설팅 자료를 토대로
작성된 내용임을 알려드립니다!!
학생부 종합 전형 Q&A 세번째
Q.독서활동에서 다양한 분야의 독서와 전공 관련 독서 중 어느 것이 중요한가요?
A. 독서는 교과학습에서 충족되지 못한 지적 호기심을 채울 수 있고, 교과 학습내에서 학생의 주도적인 학습 수단으로 가장 먼저 접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학생의 성장 가능성을 알 수 있습니다.
독서활동을 통해서 평가자들이 얻고자 하는 정보는 전공과 관련하여 어떤 노력과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이 학생이 지니고 있는 포괄적인 학업 역량의 수준이 어느정도인지,학생이 한 독서활동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발전 가능성 등과 관련된 내용일 것입니다. 자기주도적 학업역량에 뛰어난 학생이거나 지적 호기심이 충만한 학생이라면 학업을 해 나가는데 있어서 궁금증을 해결하거나 또는 심화된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 꾸준하게 독서를 하였을 것이고 평가자는 평가 요소와 관련된 심화된 정보를 얻을 수 잇을 것입니다.
독서의 분야와 관련하여 다양한 분야의 서적을 폭넓게 읽는것이 유리한지 전공과 관련된 분야의 책을 깊이 있게 읽는 것이 유리한지에 대한 질문들을 많이 합니다. 둘 다 나름의 의미를 지닐 수 있습니다. 평가자들은 학생이 어떤 독서 습관을 가졌고, 어떤 동기와 방향성을 가지고 책을 읽었는지, 교과와 관련하여 학업역량을 기르는데 어떤 도움이 되었는지, 독서가 본인 성장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등에 관심을 가지고 해석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대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지적 역량이나 지적 호기심을 보여주는 독서활동도 의미 있고, 관심 영역대한 심화된 독서를 통해 역량을 기르는 활동도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되는 독서가 저자와 도서명만 기록되기 때문에 독서량을 정량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도 있는데 독서활동을 정량적으로 반영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고교 수준에 맞지 않는 어려운 책을 읽는 것도 바람직한 모습은 아닙니다. 실제 교과영역과 관련하여 좀 더 찾아보고 알고 싶은 욕구가 생겨서 단계별로 심화된 내용의 독서를 했을 때 좀더 의미있는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독서활동상황은 자기 주도적 도서선별능력도 매우 중요합니다. 예컨대 세계사 시간에 터키에 대해 배운 후 터키역사를 알아보고자 터기역사책을 읽었다면 자기주도적 도서선별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위를 요약해보자면
1. 독서활동은 양보다는 질이다.
2. 독서활동 중 전공 관련 독서는 역량을 기르는 활동으로써 의미를 지닌다.
3. 독서활동 중 다양한 분야의 폭넓은 독서는
지적역량이나 지적호기심으로써 의미를 지닌다.
|
이렇게 정리할 수 있겠네요!!!

이렇게 오늘은 생기부에 들어가는 독서활동과 관련된 얘기를 해 보았는데요! 다음번에는 학생부종합 관련 질문들 중 학업 역량과 관련된 질문으로 돌아올게요!!
다음편도 기대많이 해주시고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안녀엉

※ 위에 내용들은 저희 스카이클래스의 가맹학원인 휴브레인 입시컨설팅 자료를 통해서
작성된 내용이며, 내용의 저작권은 모두 휴브레인 입시컨설팅학원에 있습니다.
'입시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생부 종합전형📗 Q&A 5. 내가 가고싶은 학과와 관련된 활동을 고등학교에서는 찾기가 너무 어려워요. 어떤 활동을 해야하나요? (0) | 2022.08.10 |
---|---|
📗학생부 종합전형📗 Q&A 4. 학업역량은 오로지 내신 등급으로만 평가하나요? (0) | 2022.08.10 |
📗학생부 종합전형📗 Q&A 2.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합격할 수 있는 내신성적은 어느정도 인가요? (0) | 2022.08.10 |
📗학생부 종합전형📗 Q&A 1.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고등학교 유형별로 어떤 특징이 있나요? (0) | 2022.08.10 |
📕2023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 📕 주요특징 정리 PART 4 (0) | 2022.08.10 |